캘거리 스탬피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거리 스탬피더스는 1945년 창단된 캐나다 풋볼 리그(CFL)의 프로 미식축구팀으로, 앨버타주 캘거리를 연고지로 한다. 8번의 그레이 컵 우승(1948, 1971, 1992, 1998, 2001, 2008, 2014, 2018)을 차지했으며, 1948년에는 무패 우승을 달성했다. 1960년 맥머혼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주요 라이벌로는 에드먼턴 엘크스, 서스캐처원 러프라이더스, BC 라이언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5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스프링필드 인디언스
스프링필드 인디언스는 인디언 모터사이클 회사 이름을 딴 아이스하키 팀으로, Can-Am 리그와 AHL에서 활동하며 칼더 컵을 6회 우승했으나, 구단 운영 문제와 잦은 변화를 겪으며 1994년 우스터로 이전했다. - 캘거리의 스포츠 - 올림픽 오벌
캘거리 대학교 캠퍼스 내에 있는 올림픽 오벌은 1988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건설된 북미 최초의 실내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얼음"이라는 명성 아래 수많은 세계 기록을 수립했으며 현재는 훈련 시설로 활용된다. - 캘거리의 스포츠 - 캘거리 플레임스
캘거리 플레임스는 1972년 애틀랜타 플레임스로 창단되어 1980년 캘거리로 연고지를 이전한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를 연고로 하는 NHL 프로 아이스하키 팀으로, 1989년 스탠리 컵 우승과 두 차례의 프레지던츠 트로피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제롬 이긴라, 알 맥기니스, 마이크 버넌 등의 주요 선수를 배출했고 스코샤뱅크 새들돔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캐나디안 풋볼 리그 팀 - 서스캐처원 러프라이더스
서스캐처원 러프라이더스는 캐나다 풋볼 리그의 레지나 연고 프로 미식축구팀으로, CFL 서부 디비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팬들이 일부 소유하는 비영리 구조로 운영되고 열정적인 팬덤과 상징적인 응원가로 유명하다. - 캐나디안 풋볼 리그 팀 - 오타와 레드블랙스
오타와 레드블랙스는 캐나다 풋볼 리그 소속으로, 2014년에 창단되어 2016년 그레이 컵에서 우승했으며, 라이벌 팀은 몬트리올 알루에츠이다.
캘거리 스탬피더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팀 이름 | 캘거리 스탬피더스 |
영어 표기 | Calgary Stampeders |
창단 | 1945년 1월 24일 |
연고지 | 앨버타주 캘거리 |
홈 경기장 | 맥마흔 스타디움 (1960년–현재) 미와타 파크 스타디움 (1945년–1959년) |
리그 | 캐나디안 풋볼 리그 |
디비전 | 웨스트 |
팀 색상 | 빨강, 흰색, 검정 |
닉네임 | Stamps, Horsemen |
마스코트 | 랄프 더 도그 |
웹사이트 | stampeders.com |
영구 결번 | 5 10 13 18 22 55 75 |
구단 정보 | |
감독 | 데이브 디킨슨 |
단장 | 데이브 디킨슨 |
구단주 | 캘거리 스포츠 앤 엔터테인먼트 코퍼레이션 |
우승 정보 | |
그레이 컵 우승 | 8 (1948, 1971, 1992, 1998, 2001, 2008, 2014, 2018) |
과거 팀명 | |
팀명 변천 | 캘거리 브롱코스 (1935년–1944년) 캘거리 스탬피더스 (1945년–현재) |
기타 정보 | |
팀 컬러 |
2. 역사
(내용 없음 - 이 섹션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별도의 개요는 생략함)
2. 1. 1891–1940: 캘거리 풋볼의 초창기
1945년 스탬피더스 창단 이전 캘거리의 미식축구 역사는 18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에드먼턴은 앨버타 총점 도전 시리즈(Alberta Total-point Challenge Series)에서 캘거리를 6-5로 이겼다.[5] 에드먼턴 외곽 지역인 포트 새스커치완의 한 팀이 캘거리에서 캘거리 팀을 물리친 후 자신들을 "앨버타 챔피언"이라고 선언하며 찍은 사진도 남아 있는데, 사진에는 1893년 또는 1895년이라는 두 개의 날짜가 적혀 있다.[6]캘거리 럭비 풋볼 클럽은 1907년 앨버타 챔피언십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캘거리 타이거스로 이름을 바꿔 1908년 캘거리 럭비 풋볼 연맹에, 1911년에는 앨버타 럭비 풋볼 연맹에 합류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캘거리 캐넉스, "50대대(50th Battalion)", 다시 타이거스, 캘거리 알토마스(Calgary Altomahs), 그리고 웨스턴 인터프로빈셜 풋볼 연맹 소속의 캘거리 브롱크스 등 캘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팀들이 생겨나고 사라졌다. 이 팀들은 앨버타 미식축구에서 강세를 보이며, 이후 25년 동안 앨버타 럭비 풋볼 연맹(AFRU) 챔피언십에서 15번이나 우승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이 되면서 브롱크스는 마지막 시즌을 보냈고, 캘거리의 초기 미식축구 역사도 막을 내렸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캘거리 기반 팀들은 현재 캘거리 스탬피더스의 공식 역사나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7]
2. 2. 1945–1959: 창단과 무패 우승 신화
서부 캐나다 미식축구 연맹(Western Interprovincial Football Union, WIFU)는 1945년 9월 29일 캘거리 스탬피더스의 창단과 함께 캘거리로 돌아왔다. 10월 20일 메와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4,000명의 팬 앞에서 레지나 러프라이더스를 12-0으로 이겼다. 레스 리어 감독과 우디 스트로드, 폴 로우, 키스 스페이스, 데이브 베리, 노미 퀀, 이저트 "슈거풋" 앤더슨과 같은 재능 있는 선수들 덕분에 팀은 1940년대에 성공을 거두었다.특히 1948년은 스탬피더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즌으로 기록된다. 정규 시즌에서 12승 무패를 달성했고, 플레이오프에서도 2승 1무를 기록하며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 토론토의 바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그레이 컵 결승전에서는 오타와 러프 라이더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는 "슬리퍼 플레이"를 통한 터치다운이 유명하다. 같은 해 그레이 컵 축제 기간 동안 캘거리 팬들은 독특한 응원 문화를 선보이며 축제를 전국적인 행사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시청 앞 계단에서 팬케이크 아침식사를 제공하고, 그레이 컵 퍼레이드를 시작했으며, 페어몬트 로열 요크 호텔 로비에서 말을 타는 등의 행동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다음 해인 1949년에도 스탬피더스는 13승 1패라는 뛰어난 성적으로 다시 그레이 컵 결승에 진출했지만, 몬트리올 알루에츠에게 28-15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스탬피더스는 WIFU와 IRFU(Interprovincial Rugby Football Union) 소속의 다른 팀들과 함께 1958년 새롭게 창설된 캐나다 풋볼 리그(CFL)에 합류했다.
2. 3. 1960–1971: 맥머혼 스타디움 시대
1960년, 스탬피더스는 새로운 홈구장인 맥머혼 스타디움으로 이전했다. 새로운 스타디움에서의 첫 경기는 1960년 8월 15일에 열렸으며, 위니펙 블루 봄버스에게 38-23으로 패배했다.1968년부터 1971년까지 스탬피더스는 4년 동안 세 차례(1969년 제외) 그레이 컵 경기에 진출했으며, 1971년에는 우승을 차지했다.
2. 4. 1972–1989: 암흑기와 "Save Our Stamps" 캠페인
1960년대 후반의 좋은 시절과 1971년 그레이 컵 우승 이후, 1972년부터 스탬피더스는 오랜 침체기를 겪게 되었다. 1972년부터 1989년까지 18시즌 동안 플레이오프에는 7번 진출했지만, 1978년과 1979년에 잭 고타 감독 아래 서부 결승에 오른 것이 전부였다. 이 두 번의 진출은 1970년대 후반 이후 유일한 플레이오프 승리였지만, 두 번 모두 당시 5년 연속 그레이 컵 우승이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우던 라이벌 에드먼턴 에스키모스에게 패배했다. 이후 10년 동안 팀 성적은 좋지 않았다. 특히 1980년대에는 스탬피더스가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한 유일한 CFL 팀이었다. 이 기간 동안 5번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한 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정 경기였으며 서부 준결승에서 패배했다.1985년 시즌이 끝난 후, 수년간 이어진 관중 감소, 재정난, 그리고 3승 13패라는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스탬피더스는 거의 해체될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1986년, '''세이브 아워 스탬프(Save Our Stamps)''' 캠페인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분위기가 반전되었다. 이 캠페인을 통해 시즌 티켓 22,400장을 판매하고 추가 자금을 확보하며 팀의 안정성을 되찾았고, 이는 곧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노력은 1990년에 1979년 이후 첫 플레이오프 승리를 거두고, 1991년과 1992년에 연속으로 그레이 컵에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 특히 1992년에는 위니펙 블루 봄버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5. 1990–2002: 월리 부오노 시대
이전 3년간 수석 코치를 지낸 월리 부오노가 1990년 감독으로 부임했다. 1991년 후반, 창단 이후 지역 사회 소유로 운영되던 팀은 래리 라이크먼에게 인수되며 사유화되었다.[8] 이후 13년은 스탬피더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로 기록된다. 쿼터백 더그 플루티, 제프 가르시아, 데이브 디컨슨, 와이드 리시버 앨런 핏츠, 테리 본, 데이브 사푼지스, 그리고 웨스턴 올스타였던 알론드라 존슨, 스튜 레어드, 윌 존슨이 이끄는 탄탄한 수비진의 활약에 힘입어 스탬피더스는 이 기간 동안 153승 79패 2무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그레이 컵에는 총 6번 진출하여 1992년, 1998년, 2001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1991년, 1995년, 1999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스탬피더스는 1990년대 모든 시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꾸준함을 보였다.그러나 1996년, 라이크먼은 앨버타 증권위원회로부터 주가 조작 혐의가 밝혀져 49.2만캐나다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고 팀 소유권을 포기해야 했다. 이후 4월 3일, 법원의 결정에 따라 시그 구체(Sig Gutsche)가 160만캐나다 달러에 팀을 인수했다.[9][10] 구체는 팀의 부채를 정리하고 다시 수익을 내는 구조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11]
2001년 10월 8일, 시그 구체는 캘리포니아 출신 사업가 마이클 페테릭(Michael Feterik)에게 팀을 매각했다.[12] 이전 구단주들과 달리 페테릭은 구단의 선수단 운영에 깊이 관여했다. 특히 자신의 아들인 케빈 페테릭(Kevin Feterik)을 선발 쿼터백으로 기용한 결정은 팬들과 부오노 감독 모두의 불만을 샀다. 결국 부오노 감독은 2002년 캐나다 풋볼 리그(CFL) 시즌 종료 후 BC 라이온스로 팀을 옮겼다.
2. 6. 2003–2007: 감독 교체와 과도기
월리 부오노(Wally Buono) 감독이 떠난 후, 스탬피더스는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3년 동안 세 명의 감독이 팀을 이끌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연도 | 감독 | 성적 | 비고 |
---|---|---|---|
2003 | 짐 바커(Jim Barker) | 5승 13패 | 부오노의 후임이었으나 한 시즌 만에 해임되었다. |
2004 | 맷 더니건(Matt Dunigan) | 4승 14패 | 바커의 후임이었으나 역시 한 시즌 만에 교체되었다. |
2005–2007 | 톰 히긴스(Tom Higgins) | - | 팀을 이끌며 재정비 시기를 가졌다. |
2005년 부임한 톰 히긴스 감독 체제 하에서 팀은 점차 안정을 찾아갔다. 쿼터백 헨리 버리스(Henry Burris)와 러닝백 조프리 레이놀즈(Joffrey Reynolds)의 활약에 힘입어 팀은 다시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였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한계를 드러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연속으로 서부 준결승전에서 패배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한편, 팀 운영에 어려움을 겪던 구단은 2005년 1월 새로운 주인을 맞이했다. 기존 소유주 페테릭(Feterik)은 테드 헬라드(Ted Hellard), 더그 미첼(Doug Mitchell), 전 스탬피더스 선수 존 포르자니(John Forzani), 그리고 NHL의 캘거리 플레임스(Calgary Flames)를 소유한 캘거리 플레임스 유한책임투자회사 등이 참여한 그룹에 팀을 매각했다.[13]
2. 7. 2008–2015: 존 허프나겔 시대
2008년, 과거 스탬피더스의 쿼터백이었던 존 허프나겔이 감독으로 부임했다. 스탬피더스는 그의 지휘 아래 오랜 플레이오프 승리 가뭄을 끝내고, 몬트리올 알루엣츠를 22-14로 꺾으며 96회 그레이 컵에서 팀 통산 여섯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쿼터백 헨리 버리스는 최우수 선수(MVP)로, 키커 산드로 디안젤리스는 최고의 캐나다 선수로 선정되었다. 존 허프나겔은 이후 여러 NFL 및 대학 축구 팀의 관심을 받았지만, 스탬피더스의 단장직을 계속 맡았다. 그는 2015 시즌 종료 후 감독직을 전 스탬피더스 선수이자 BC 라이온스의 스타였던 데이브 디켄슨에게 넘겨주었다.2009년부터 2014년까지 스탬피더스는 2011년을 제외하고 매 시즌 서부 결승에 진출하는 꾸준함을 보였다. 2011년에는 에드먼턴에서 열린 서부 준결승에서 에드먼턴 에스키모스에게 33-19로 패배했다. 이듬해인 2012년에는 캘거리 스포츠 앤 엔터테인먼트가 팀 지분 5%만 보유하고 있다가 최대 주주가 되었다. 그해 스탬피더스는 100회 그레이 컵 경기에 진출했지만, 토론토 아르고노츠에게 35-2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년에도 서부 결승에서 패배한 스탬피더스는 2014년에 다시 102회 그레이 컵에 진출하여 해밀턴 타이거-캐츠를 20-16으로 꺾고 프랜차이즈 통산 일곱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 8. 2016–현재: 데이브 디켄슨 시대
2015 시즌 후, 존 후프나겔(John Hufnagel)은 감독 겸 단장직에서 물러나 단장직만 맡고, 감독직은 전 스탬피더스 쿼터백인 데이브 디켄슨에게 넘겼다. 디켄슨 감독 체제에서도 스탬피더스는 성공을 이어갔다.2016년 시즌에는 15승 2패 1무라는 뛰어난 성적으로 서부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제104회 그레이 컵 결승에서는 연장 접전 끝에 창단 3년 차인 오타와 레드블랙스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2017년에는 13승 4패 1무로 리그 최고 성적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제105회 그레이 컵에 진출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토론토 아르고노츠에게 패하며 또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는 5년 전 제100회 그레이 컵에서 토론토에게 패했던 결과와 같았다.[14]
2018년 시즌, 스탬피더스는 13승 5패를 기록하며 3년 연속 그레이 컵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오타와 레드블랙스를 27-16으로 꺾고 마침내 그레이 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 해 쿼터백 보 레비 미첼(Bo Levi Mitchell)은 CFL 최우수 선수상과 그레이 컵 최우수 선수상을 동시에 수상했으며, 리시버 레마르 듀런트(Lemar Durant)는 그레이 컵 최우수 캐나다인 선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15]
4년 연속 그레이 컵 진출을 노리던 스탬피더스의 도전은 2019년에 멈췄다. 팀은 12승 6패로 서부 디비전 2위를 기록했고, 서부 준결승에서 그 해 그레이 컵 우승팀이 되는 위니펙 블루 봄버스에게 35-14로 패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CFL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시즌을 취소했지만, 2021년에 단축 시즌으로 복귀했다. 스탬피더스는 8승 6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서부 준결승에서 사스캐처원 러프라이더스에게 연장전 끝에 33-30으로 패하며 일찍 탈락했다.
2022년 시즌에는 12승 6패의 성적으로 다시 플레이오프 무대를 밟았지만, 서부 준결승에서 BC 라이언스에게 30-16으로 패배하며 또다시 준결승에서 고배를 마셨다. 시즌 종료 후인 2022년 12월 12일, 디켄슨 감독이 감독직을 유지하면서 단장직까지 겸임하게 되었다는 발표가 있었다.[16]
3. 팀 정보
; 창단 : 1945년
; 헬멧 디자인 : 빨간색 배경에 흰색으로 달리는 말 그림. 이 디자인은 1967년 시즌부터 약간의 변형을 거치며 사용되고 있다.
; 유니폼 색상 : 빨간색, 흰색, 검정색
; 과거 유니폼 색상 : 빨간색과 흰색에 회색 악센트
; 별명 : 스탬피더스(Stamps), 호스맨(Horsemen)
; 마스코트 : 랄프 더 독(Ralph the Dog)
; 응원가 : "Ye Men of Calgary"
; 경기장 : 맥머혼 스타디움
; 주요 라이벌 : 에드먼턴 엘크스(알버타 배틀 참조), 서스캐처원 러프라이더스, BC 라이언스
구분 | 횟수 | 연도 |
---|---|---|
서부 디비전 1위 | 20회 | 1946, 1948, 1949, 1965, 1967, 1971, 1990, 1992, 1993, 1994, 1995, 1996, 1998, 2008, 2010, 2013, 2014, 2016, 2017, 2018 |
북부 디비전 1위 | 1회 | 1995 |
서부 디비전 챔피언십 | 16회 | 1948, 1949, 1968, 1970, 1971, 1991, 1992, 1998, 1999, 2001, 2008, 2012, 2014, 2016, 2017, 2018 |
북부 디비전 챔피언십 | 1회 | 1995 |
그레이 컵 챔피언십 | 8회 | 1948, 1971, 1992, 1998, 2001, 2008, 2014, 2018 |
; 2023년 정규 시즌 기록 : 6승 12패
4. 그레이 컵 우승 기록
wikitext
년도 | 우승팀 | 점수 | 준우승팀 | 그레이 컵 대회 | 개최지 | |||||||||||||||||||||||||||||||||||||||||||||||||||||||||||||||||||||||||||||||||||||||||||||||||||||||||||||||||||||||||||||||||||||||||||||||||||||||||||||||||||||||||||||||||||||||||||||||||||||||||||||||
---|---|---|---|---|---|---|---|---|---|---|---|---|---|---|---|---|---|---|---|---|---|---|---|---|---|---|---|---|---|---|---|---|---|---|---|---|---|---|---|---|---|---|---|---|---|---|---|---|---|---|---|---|---|---|---|---|---|---|---|---|---|---|---|---|---|---|---|---|---|---|---|---|---|---|---|---|---|---|---|---|---|---|---|---|---|---|---|---|---|---|---|---|---|---|---|---|---|---|---|---|---|---|---|---|---|---|---|---|---|---|---|---|---|---|---|---|---|---|---|---|---|---|---|---|---|---|---|---|---|---|---|---|---|---|---|---|---|---|---|---|---|---|---|---|---|---|---|---|---|---|---|---|---|---|---|---|---|---|---|---|---|---|---|---|---|---|---|---|---|---|---|---|---|---|---|---|---|---|---|---|---|---|---|---|---|---|---|---|---|---|---|---|---|---|---|---|---|---|---|---|---|---|---|---|---|---|---|---|---|---|---|---|
1948 | 캘거리 스탬피더스 {{lang|eng|Calgary Stampeders|} | }
번호 | 이름 | 헌액 연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22 | 폴 로우 (Paul Rowe) | 1964 | 러닝백(RB) | 1945년 - 1950년 |
- | 딘 그리핑 (Dean Griffing) | 1965 | 센터(C) | 1945년 - 1947년 |
95 | 노먼 퀀 (Norman Kwong) | 1969 | 러닝백(RB) | 1948년 - 1950년 |
55 | 웨인 해리스 (Wayne Harris) | 1976 | 라인배커(LB) | 1961년 - 1972년 |
21 | 하비 와일리 (Harvey Wylie) | 1980 | 디펜시브 백(DB) | 1956년 - 1964년 |
27 | 얼런스포드 (Earl Lunsford) | 1983 | 러닝백(RB) | 1956년, 1959년–1963년 |
77 | 존 헬튼 (John Helton) | 1986 | 디펜시브 태클(DT) | 1969년 - 1978년 |
62 | 돈 루치 (Don Luzzi) | 1986 | 오펜시브 태클(OT) / 디펜시브 태클(DT) | 1958년 - 1969년 |
56 | 토니 파자츠코프스키 (Tony Pajaczkowski) | 1988 | 오펜시브 가드(OG) | 1955년 - 1965년 |
76 | 허먼 해리슨 (Herman Harrison) (Herm Harrison) | 1993 | 라인배커(LB) / 타이트 엔드(TE) | 1964년 - 1972년 |
15 | 래리 로빈슨 (Larry Robinson) | 1998 | 디펜시브 백(DB) / 플레이 킥커(K) | 1961년 - 1975년 |
10 | 윌리 버든 (Willie Burden) | 2001 | 러닝백(RB) | 1974년–1981년 |
18 | 앨런 피츠 (Allen Pitts) | 2006 | 와이드 리시버(WR) | 1990년–2000년 |
59 | 로코 로마노 (Rocco Romano) | 2007 | 오펜시브 가드(OG) | 1987년, 1992년 - 2000년 |
20 | 더그 플루티 (Doug Flutie) | 2008 | 쿼터백(QB) | 1992년–1996년 |
51 | 알론드라 존슨 (Alondra Johnson) | 2009 | 라인배커(LB) | 1991년 - 2003년 |
15 | 데이브 딕켄슨 (Dave Dickenson) | 2015 | 쿼터백(QB) | 1996년–2000년, 2009년 |
32 | 캘빈 앤더슨 (Kelvin Anderson) | 2017 | 러닝백(RB) | 1996년–2002년 |
9 | 존 코니시 (Jon Cornish) | 2019 | 러닝백(RB) | 2007년–2015년 |
'''감독 및 기여자'''
이름 | 헌액 연도 | 포지션 | 활동 기간 | |
---|---|---|---|---|
딘 그리핑 (Dean Griffing) | 1965 | 감독, 구단주 | 1945년 - 1947년 | |
A.G. "토니" 안셀모 (A.G. "Tony" Anselmo) | 2009 | 회장 | 1973–1974 |
6. 영구 결번
번호 | 이름 |
---|---|
5 | 해리 후드 (Harry Hood) |
10 | 윌리 버든 (Willie Burden) |
13 | 마크 맥러플린 (Mark McLoughlin) |
18 | 앨런 피츠 (Allen Pitts) |
22 | 톰 포르자니 (Tom Forzani) |
55 | 웨인 해리스 (Wayne Harris) |
75 | 스튜 레이드 (Stu Laird) |
7. 주요 선수 (과거 소속 선수 포함)
- 우디 스트로드 Woody Strode|eng
- 에디 르바론 Eddie LeBaron|eng
- 조 캡 Joe Kapp|eng
- 잭 켐프 Jack Kemp|eng
- 조 피서식 Joe Pisarcik|eng
- 브라이언 필먼 Brian Pillman|eng
- 더그 플루티 Doug Flutie|eng
- 브랜든 브로너 Brandon Browner|eng
- 아킬리 스미스 Akili Smith|eng
8. 프런트 오피스
=== 단장 ===
이름 | 재임 기간 |
---|---|
밥 로비넷 | 1953–1955 |
밥 매스터슨 | 1956 |
짐 핑크스 | 1957–1964 |
팻 매호니 | 1964 |
로저스 리휴 | 1965–1973 |
개리 홉슨 | 1974–1976 |
잭 고타 | 1977–1983 |
스티브 부라토 | 1984 |
얼 런스포드 | 1985–1987 |
번 시먼스 (대행) | 1987 |
놈 쾅 | 1988–1991 |
월리 부오노 | 1992–2002 |
프레드 파테리 | 2003 |
마크 맥러플린 | 2003 |
맷 두니건 | 2004 |
짐 바커 | 2005–2007 |
존 후프나겔 | 2008–2022 |
데이브 디컨슨 | 2022–현재 |
=== 구단주 역사 ===
소유주 | 소유 기간 |
---|---|
지역 공동 소유 | 1945년 ~ 1991년 10월 23일 |
래리 라이크먼 | 1991년 10월 23일 ~ 1996년 4월 3일 |
시그 구체 | 1996년 4월 3일 ~ 2001년 10월 8일 |
마이클 페테릭 | 2001년 10월 8일 ~ 2005년 1월 |
지역 민간 소유 | 2005년 1월 ~ 2012년 3월 29일 |
캘거리 스포츠 앤 엔터테인먼트 | 2012년 3월 29일 ~ 현재 |
=== 기념된 건설자들 (2012년까지) ===
구단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기념하는 명단이다.
이름 | 기념 연도 |
---|---|
토니 안셀모 | 2001년 |
톰 브룩 | 2001년 |
로이 제닝스 | 2001년 |
조지 맥머혼 | 2001년 |
프랭크 M. 맥머혼 | 2001년 |
로저스 리휴 | 2004년 |
스탠 슈워츠 | 2004년 |
빈스 머피 박사 | 2006년 |
짐 핑크스 | 2010년 |
시그 구체 | 2012년 |
노먼 쾅 | 2012년 |
9. 코칭 스태프
- 딘 그리핑 (1945–1947)
- 레스 리어 (1948–1952)
- 밥 스나이더 (1953)
- 래리 시머링 (1954)
- 잭 헤네미어 (1955–1956)
- 오티스 더글러스 (1956–1960) (1960년 8월 19일, 0승 2무 1패 성적 후 사임)
- 짐 핑크스 (1960) (단장으로서 8월 22일 BC 라이언스전 패배 후 임시 감독 대행)
- 스티브 오웬 (1960) (1960년 8월 23일, 0승 3무 1패 상황에서 임명)
- 바비 돕스 (1961–1964)
- 제리 윌리엄스 (1965–1968, 1981)
- 짐 던컨 (1969–1973)
- 짐 우드 (1973–1975)
- 밥 베이커 (1975–1976)
- 조 틸러 (1976)
- 잭 고타 (1977–1979, 1982–1983)
- 아델 와이건트 (1980–1981)
- 스티브 부라토 (1984–1985)
- 버드 라일리 (1985)
- 밥 베스파지아니 (1986–1987)
- 래리 쿠하리치 (1987–1989)
- 월리 부오노 (1990–2002)
- 짐 바커 (2003)
- 맷 두니건 (2004)
- 톰 히긴스 (2005–2007)
- 존 후프나겔 (2008–2015)
- 데이브 디켄슨 (2016–현재)
프런트 오피스 / 코칭 스태프 | |
---|---|
style="vertical-align:top; width: 50%;" | | style="vertical-align:top; width: 50%;" | |
10. 현재 선수 명단
명단 2024년 12월 13일 업데이트 • 뎁스 차트 • 거래 • 더 많은 CFL 명단
참조
[1]
서적
2024 CFL Guide & Record Book
https://static.cfl.c[...]
CFL Enterprises LP
2024-06-10
[2]
보도자료
Together We Ride: Stampeders reveal 2023 uniforms
https://www.cfl.ca/2[...]
CFL Enterprises LP
2023-04-19
[3]
뉴스
STAMPS ANNOUNCE 2021 SCHEDULE
https://www.stampede[...]
CFL Enterprises LP
2020-11-20
[4]
웹사이트
Calgary Stampeders - Team - Tradition
http://www.stampeder[...]
2011-04-29
[5]
웹사이트
CANADIAN FOOTBALL TIMELINES (1860 – PRESENT)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Item EA-780-2 - Fort Saskatchewan Team - Played For Edmonton
https://cityarchives[...]
[7]
웹사이트
STAMPS STORY
http://www.stampeder[...]
stampeders.com
[8]
웹사이트
A Turning Point 25 Years Ago
https://www.stampede[...]
Calgary Stampeders
2016-12-22
[9]
웹사이트
Stamps Story
https://www.stampede[...]
Calgary Stampeders
[10]
서적
Home Again
2014
[11]
웹사이트
Former Stamps owner Sig Gutsche dies at 64
https://calgaryheral[...]
[12]
웹사이트
Gutsche sells Stamps to Feterik
http://www.oursports[...]
OurSports Central
2001-10-08
[13]
웹사이트
How Stampeders Ownership Made Calgary into a Model Franchise
http://lastwordonspo[...]
2016-02-21
[14]
보도자료
Statement by the Prime Minister of Canada on the 105th Grey Cup
https://pm.gc.ca/eng[...]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2017-11-26
[15]
뉴스
Calgary Stampeders defeat Ottawa Redblacks 27-16 to win 106th Grey Cup
https://globalnews.c[...]
Global News
2018-11-25
[16]
웹사이트
Dickenson adds title of general manager
https://www.stampede[...]
Calgary Stampeders
2022-12-12
[17]
뉴스
Stamps zero in on Reeves
https://news.google.[...]
1982-11-17
[18]
뉴스
Familiar faces among Stamps' captains
http://www.calgarysu[...]
2010-06-29
[19]
웹사이트
Raymond wins second President's Ring
http://www.stampeder[...]
Calgary Stampeders Football Club
201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